P-프로젝트(S3 Presigned URL 적용, Spring)
·
회고록/S3
서론해당 포스팅은 P-프로젝트를 진행했을때 프로필, 게시글 이미지 업로드를 위하여 S3를 사용했을때, Presigned URL 방식을 적용하여 업로드 속도 및 보안 측면에서의 이점을 가져왔었던 내용으로 작성해보려고 한다.S3 이미지 업로드먼저 Presigned URL 방식에 대해 얘기해보기전에, S3 업로드 방식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보겠다.AWS S3는 AWS Simple Storage Service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아마존에서 제공해주는 파일 서버의 역할을 하는 서비스라고 생각해주면 될거같다. 별도로 파일을 저장해주기에 개발자가 따로 용량을 추가하거나 성능을 높이는 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아래는 내가 노션에 문서화했던 S3 초기 설정 내용이다Presigned URL 이란 ?모든 객체는..
P-프로젝트(스왑 메모리, DevOps)
·
회고록/스왑 메모리
서론이번 회고는 서버의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wap 메모리를 생성하고 적용한 경험에대해 작성해보려고 한다.P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Github Actions, EC2, RDS, 도커를 이용해서 CICD를 구축했었는데, 당연히 유료는 대학생 입장에서 너무 부담스러웠었기에 AWS 프리 티어를 사용했었다. t2.micro 인스턴스는 1GB RAM만 제공하는데, 여러 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돌리다 보면 메모리가 부족해서 서버가 자동으로 다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문제점 위 사진의 내용처럼 CPU 사용량이 100%에 가까워지게 되면서, CPU의 모든 크레딧이 소진되어 네트워크 출력이 0이 되어서 서버가 자동적으로 다운됐던 것이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난 스왑 메모리를 설정하여 이를 해결했는데, 해당..